지역사랑상품권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 심층 분석: 지방소멸 해결책으로서의 한계와 근본적 접근의 필요성
지역사랑상품권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은 2025년 8월 4일 국회를 통과하여 지역사랑상품권에 대한 국가지원을 의무화한 중요한 입법 조치이다. 그러나 이 법안이 표방하는 지방소멸 완화와 지역 균형발전이라는 목적 달성에 대해서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최근 실증연구들과 전문가 분석에 따르면, 지방소멸의 근본 원인은 양질의 일자리 부족이며, 젊은층의 직업 선호도 변화와 수도권 집중이 핵심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역사랑상품권만으로는 구조적 문제 해결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nrc+5
지방소멸의 근본 원인: 일자리 구조의 문제
양질의 일자리 부족이 핵심 동인
최신 연구 결과들은 지방소멸의 가장 큰 원인이 좋은 일자리의 부족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한국국토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지방 청년 유출의 가장 큰 원인은 좋은 일자리의 부족이다. 지역의 주력산업이 위축되면서 안정적인 일자리가 줄고 청년들은 더 나은 미래를 찾아 수도권으로 떠나고 있다".nrc
전국경제인연합회의 2023년 조사에서는 비수도권 거주 청년의 64%가 일자리 부족을 이유로 수도권 이주를 희망한다고 응답했으며, 수도권 이주 희망 이유 1위가 "지역의 열악한 일자리 여건(47.4%)"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한 경제적 문제를 넘어 지역의 산업구조와 고용시장의 구조적 한계를 반영한다.mk
젊은층의 직업 선호도 변화
특히 주목할 점은 젊은층의 직업 선호도 변화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에 따르면 지방 청년들의 88%가 수도권에서 취업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에는 제조업 일자리가 상당수 존재하지만, 젊은층은 사무직과 서비스업 등 화이트칼라 직종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mediacenter.gwnu+2
강원대학교 졸업생 김건은 "서울이 지방보다 넓은 직업 선택의 자유가 있다. 취업 준비에 있어서 인적 교류가 지방보다 수도권이 더 활발히 이루어져 경험할 수 있는 것들이 많다"고 증언했다. 이는 단순한 일자리 수의 문제가 아니라 직업의 다양성과 질적 수준의 격차를 보여준다.mediacenter.gwnu
수도권 쏠림 현상의 심화
통계청 데이터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수도권으로 순유입된 20대 청년 인구가 59만명에 달한다. 특히 경남에서 20대 10만5천명이 순유출되어 17개 시도 중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경북(-9만명), 전남(-7만6천명), 전북(-7만6천명) 순으로 청년 인구가 유출되었다.youthdaily
한국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수도권 인구 비중은 50.6%로 OECD 26개국 중 1위를 기록하고 있어, 집중도가 극심한 상황이다. 이러한 수도권 집중은 청년층의 '삶의 기회' 추구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youthdaily
지역사랑상품권 정책의 실증적 효과 분석
소비진작 효과의 한계
지역사랑상품권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실증연구는 소비진작 효과가 미미하거나 부재함을 보여준다. 윤상호(2023)의 연구에 따르면 "지역주민의 결제액 규모가 상품권 결제액 증가에 비탄력적으로 반응하는 등 상품권의 소비 진작 효과가 부재하거나 미미하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관찰된다".kci
이는 기존 소비의 대체 현상이 주요 원인이다. 지역주민들이 지역사랑상품권을 이용할 때 "대형유통업과 같은 상품권 비가맹점에서 소형유통업과 같은 가맹점으로 구매처를 변화하는 등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대체 구매 행태가 관찰되지만, 전체 소비 규모의 증가로는 이어지지 않는다".kci
제로섬 게임의 우려
한국경제신문 분석에 따르면 "모든 지자체가 지역화폐를 발행하면 역외 소비지출을 막아 지역 내 매출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사라지고 발행 비용만 남게 된다". 이는 지자체 간 제로섬 게임을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재정력이 우수한 수도권 지자체가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할 경우 지역 불균형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sgsg.hankyung
실제로 2025년 들어 경기도 등 '부자 지방자치단체'가 지역화폐 발행 규모를 대폭 늘리는 반면, 재정 형편이 빠듯한 비수도권 지자체는 발행 규모를 줄이고 할인율도 축소하고 있어 지역 간 격차가 오히려 확대되고 있다.sgsg.hankyung
전북연구원의 효과 분석
전북연구원의 연구용역 보고서는 지역사랑상품권의 정책 효과에 대해 보다 균형잡힌 시각을 제시한다. "지역사랑상품권이 지역에 미친 효과가 크다고 보고 있고 실제 소상공인의 매출 증가와 서민들의 가계 경제에 크게 도움을 준 것으로 분석하고 있어 국회 및 지역에서는 국비 삭감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큰 상황"이라고 평가했다.jthink
그러나 동시에 "지역사랑상품권에 대한 도민과 소상공인의 인식 및 만족도를 파악하여 정책 지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고 명시하여, 정책의 지속성에 대한 객관적 검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jthink
법안의 주요 조문 분석 및 현실적 한계
제1조 (목적) 개정의 문제점
개정안은 기존 목적 조문에 **'지방소멸 완화'와 '지역 균형발전'**을 추가했지만, 이는 수단과 목적의 혼동을 야기할 수 있다. 지역사랑상품권은 본질적으로 소비 촉진 수단이지 일자리 창출이나 산업 육성 수단이 아니다.consumer.gwd+1
지방소멸의 근본 원인이 양질의 일자리 부족이라면, 상품권을 통한 소비 지원만으로는 구조적 문제 해결에 한계가 있다. 마강래 중앙대 교수는 "지방대가 저평가를 받는 것은 교육의 질보다 지역의 일자리 부족과 깊은 관련이 있다"며 "각 지역 거점을 중심으로 강한 일자리 정책을 펴서 주변 지역과 연계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brunch
국가지원 의무화의 재정 부담과 효율성 문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의무화는 연간 3,000억원 내외의 예산 소요가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막대한 재정 투입에 비해 지방소멸 완화 효과가 불분명하다는 것이 문제다.newsis+1
김준영 한국고용정보원 팀장은 "청년 인구의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타 지역으로부터 제조업 기업을 유치하는 제로섬 게임 방식이 아니라 청년들의 취업선호도가 높은 교육·보건·사회복지·공공행정 등 사회서비스업이나 출판·영상 등 정보서비스, 예술·스포츠 등 여가서비스업과 같은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brunch
이는 지역사랑상품권보다는 직접적인 일자리 창출 정책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본계획 수립의 한계
행정안전부장관의 5년 단위 기본계획과 연간 세부시행계획 수립 의무화는 정책의 체계성을 높일 수 있지만, 중앙정부 주도의 획일적 접근이 될 우려가 있다.gen+1
지역별로 산업구조와 인구구성, 경제여건이 상이한 상황에서 전국 단위의 표준화된 계획만으로는 각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어렵다. 특히 지방자치의 본질과 상충할 가능성이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정치적 쟁점의 재평가
여당 논리의 현실적 검토
민주당이 제시하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방소멸 완화를 위한 핵심 정책"**이라는 주장은 정치적 목적과 정책적 실효성을 구분해서 평가해야 한다.kgnews+1
박정현 의원의 "실제로 지방 재정이 어려우니 국가가 투자해서 어려운 지방 정부 재정을 보완하고, 지역경제를 살리자는 취지"라는 설명은 타당하지만, 지역경제를 살리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상품권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는다.yna
야당 논리의 합리적 측면
국민의힘과 과거 윤석열 정부가 제기한 "지방자치제도 근간 훼손과 정부의 예산편성권 침해" 우려는 법리적으로 일정한 타당성이 있다.korea+1youtube
특히 조은희 의원의 "'이재명 하명법'이라는 이유로 일방적으로 해서는 안 된다"는 비판은 과도하지만, 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객관적 검증 없이 정치적 상징성만으로 추진되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newsis+1
이상민 전 행안부장관이 제시한 **"부유한 지자체에 더 많은 국비가 지원되어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는 실제로 2025년 현황에서 나타나고 있어 주목할 만하다.newsis+1
근본적 해결방안: 일자리 중심 접근의 필요성
첨단산업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국토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첨단산업이 만드는 지역의 새로운 미래"**가 지방소멸 대응의 핵심이다. "지방이 수도권과 경쟁하려면 새로운 성장 동력이 필요하며 그 핵심은 바로 첨단산업이다. 인공지능(AI), 반도체, 바이오, 친환경 에너지 등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디지털 전환과 친환경 혁신을 통해 지속 성장이 가능한 분야"라고 제시한다.nrc
이는 지역사랑상품권을 통한 소비 지원보다는 직접적인 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이 더 근본적인 해결책임을 시사한다.
지방대학과 인재 양성의 연계
산업연구원 보고서는 "지역에서 대학은 혁신의 구심점이자 인력 양성의 원천"이라며 **"'혁신역량 제고 → 산업고도화 → 고부가가치기업 집적 → 좋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지역경제 선순환 메커니즘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한다.futurekorea
김동주 강원대 기자는 "지방과 수도권 간 취업 관련 정보량 차이가 심하다"고 지적하며, 정보 격차 해소와 지역 특화 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mediacenter.gwnu
성공 사례: 경상북도의 사회적경제 청년일자리
경상북도는 2018년 하반기 '경북형 사회적경제 청년일자리 사업'을 통해 청년 200명이 지역의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 107곳에 취업하도록 지원했다. 이는 직접적인 일자리 창출을 통한 청년 정착 유도의 성공 사례로 평가된다.brunch
이러한 사례는 지역사랑상품권을 통한 간접적 지원보다는 직접적인 일자리 창출 정책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지역사랑상품권법 개정안의 재평가
정책의 한계 인정과 보완책 마련
지역사랑상품권법 개정안이 지방소멸 완화에 일정한 기여를 할 수는 있지만, 만능 해결책은 아니라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서울연구원의 연구보고서도 "지역사랑상품권의 경제적 효과에 대해서는 찬반 의견이 갈리지만,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사실에 대해서는 대체로 동의하고 있다"고 균형잡힌 평가를 제시한다.si
따라서 지역사랑상품권은 보완적 수단으로 활용하되, 근본적인 지방소멸 대책은 별도로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적 정책 패키지의 필요성
전문가들은 지역맞춤형 종합 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연구에 따르면 "지방 광역시와 도 지역 내 시 지역의 경우 일자리 부족, 교육여건 악화 등 생활 여건의 악화로 지방소멸의 위기를 맞고 있으므로 일자리 정책과 교육여건 확보 등을 통하여 주변 지역까지 견인할 수 있는 지역으로 특화시켜야 한다"고 제안한다.kci
이는 ① 첨단산업 육성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② 지방대학 경쟁력 강화, ③ 생활 인프라 개선, ④ 문화·여가 시설 확충 등이 지역사랑상품권과 함께 추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효과성 측정과 지속적 개선
법안에 포함된 3년 이내 실태조사 의무화는 긍정적이지만, 보다 구체적인 성과 지표 설정이 필요하다. 단순한 발행액이나 이용률이 아니라 ① 지역 내 청년 인구 변화, ② 지역 일자리 증감, ③ 지역경제 성장률, ④ 소상공인 실질 매출 증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consumer.gwd+1
결론: 현실적 접근과 장기적 비전의 조화
지역사랑상품권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은 지역경제 지원과 소상공인 보호 측면에서는 일정한 의미가 있다. 국가지원 의무화를 통해 정책의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확보한 것은 분명한 성과다.
그러나 지방소멸이라는 근본적 문제 해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솔직히 인정해야 한다. 지방소멸의 핵심 원인이 양질의 일자리 부족과 젊은층의 직업 기회 제약이라면, 상품권을 통한 소비 지원만으로는 구조적 해결이 어렵다.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제언:
- 지역사랑상품권을 보완적 수단으로 활용하되, 지방소멸 대응의 주요 정책은 첨단산업 육성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집중해야 한다.
- 지역별 맞춤형 접근을 통해 각 지역의 산업 특성과 인구 구조를 고려한 차별화된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
- 효과성 측정 체계를 강화하여 지속적인 정책 개선을 도모하고, 성과가 부족한 경우 과감한 정책 전환을 검토해야 한다.
- 지방자치의 본질을 존중하면서도 국가적 차원의 지역균형발전 정책과 조화를 이루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결국 지역사랑상품권법 개정안은 지역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 수단 중 하나로서 의미가 있지만, 지방소멸이라는 복합적 문제의 완전한 해결책은 될 수 없다. 보다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자리 창출, 교육 환경 개선, 생활 인프라 구축 등이 종합적으로 추진되어야 진정한 지역발전과 지방소멸 완화가 가능할 것이다.kci+3
- https://www.nrc.re.kr/board.es?mid=a30200000000&bid=0044&act=view&list_no=179275&tag=&nPage=1&issue_cd=44&cg_code=C00
- https://www.youthdaily.co.kr/news/article.html?no=159871
- https://mediacenter.gwnu.ac.kr/bbs/mediacenter/1329/264874/artclView.do
- https://m.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701541&pWise=mSub&pWiseSub=C9
- https://consumer.gwd.go.kr/board_news/73968
- http://www.gen.or.kr/m/page/view.php?no=8682
- https://www.mk.co.kr/news/business/10710167
- https://brunch.co.kr/@elephant/26
- https://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6749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64293
- https://sgsg.hankyung.com/article/2025013149951
- http://jthink.re.kr/jthink/2022/inner.php?sMenu=A1000&pno=14&mode=view&no=1083
-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0905_0002876023
-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0906_0002878603
- https://www.kgnews.co.kr/news/article.html?no=854190
- https://www.yna.co.kr/view/AKR20240905084700001
- https://www.korea.kr/briefing/policyBriefingView.do?newsId=156651238
- https://www.youtube.com/watch?v=2ZzHlHDyohQ
- https://www.khan.co.kr/article/202409191651001
- https://www.si.re.kr/node/68344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20293
- https://law.go.kr/LSW/lsRvsRsnListP.do;jsessionid=8Ua5a7D-AAl9ACd4BJoxWd7W.LSW6?lsId=001846&lsRvsGubun=all&chrClsCd=010102
- https://www.law.go.kr/lsInfoP.do?lsId=013749
- https://law.go.kr/LSW/ordinLinkProc.do?ordinNm=%EC%84%9C%EC%9A%B8%ED%8A%B9%EB%B3%84%EC%8B%9C%EB%8F%84%EB%B4%89%EA%B5%AC%ED%96%89%EC%A0%95%EA%B8%B0%EA%B5%AC%EC%84%A4%EC%B9%98%EC%A1%B0%EB%A1%80%EC%8B%9C%ED%96%89%EA%B7%9C%EC%B9%99&mode=20&chrClsCd=
-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270219&viewCls=lsRvsDocInfoR
- https://www.law.go.kr/LSW/flDownload.do?gubun=ELIS&flSeq=153922523&flNm=%28%EB%B3%84%ED%91%9C%29+%EC%A0%84%EA%B2%B0%EC%B2%98%EB%A6%AC%EC%82%AC%ED%95%AD%28%EC%A0%9C4%EC%A1%B0+%EA%B4%80%EB%A0%A8%29
- https://www.law.go.kr/LSW/ordinLinkProc.do?mode=20&ordinNm=%EC%84%9C%EC%9A%B8%ED%8A%B9%EB%B3%84%EC%8B%9C%EC%98%81%EB%93%B1%ED%8F%AC%EA%B5%AC%ED%96%89%EC%A0%95%EA%B8%B0%EA%B5%AC%EC%84%A4%EC%B9%98%EC%A1%B0%EB%A1%80%EC%8B%9C%ED%96%89%EA%B7%9C%EC%B9%99&chrClsCd=
- https://www.law.go.kr/LSW/lsRvsRsnListP.do;jsessionid=+o+1+Tz5dTuaKDSdp4xIDH75.LSW15?lsId=009281&lsRvsGubun=all&chrClsCd=010102
- https://www.law.go.kr/LSW/ordinInfoP.do?ordinSeq=2059815&chrClsCd=010202&gubun=
- https://www.law.go.kr/LSW/flDownload.do?gubun=ELIS&flSeq=55079961&flNm=%5B%EB%B3%84%ED%91%9C+1%5D+%EB%B3%B8%EC%B2%AD%2C+%EC%A7%81%EC%86%8D%EA%B8%B0%EA%B4%80%2C+%EC%82%AC%EC%97%85%EC%86%8C%EC%9D%98+%EB%B6%84%EC%9E%A5%EC%82%AC%EB%AC%B4
- https://www.law.go.kr/LSW/lsRvsRsnListP.do;jsessionid=t5L3wcwB8XpaDZQHYUysBgS5.LSW8?lsId=001763&lsRvsGubun=all&chrClsCd=010102
- https://www.law.go.kr/LSW/flDownload.do?gubun=ELIS&flSeq=137316833&flNm=%EC%97%98%EB%A6%AC%EC%8A%A4%EC%9E%90%EC%B9%98%EB%B2%95%EA%B7%9C
- https://www.law.go.kr/LSW/lsRvsRsnListP.do;jsessionid=7L43mRyQRgHNQPNuo+qKPwGu.LSW15?lsId=001754&chrClsCd=010102&lsRvsGubun=all
- https://www.law.go.kr/LSW/lsRvsRsnListP.do;jsessionid=1CkUn0pNjt4aYO3ENmR72zvw.LSW8?lsId=011016&lsRvsGubun=all&chrClsCd=010102
- http://www.kapf.or.kr/kapf/data/imgfile/2)%EC%9C%A4%EC%83%81%ED%98%B8.pdf
- http://www.klog.or.kr/data/file/library_journal/3024368031_C4ybrUB2_18EC9CA0ED959CEBB384_ED8381EAB7BCECA3BC_EBACB8ECA095EC8AB9.pdf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602843
- https://iinyf.com/content/?bmode=view&idx=166445817
- https://webzine.mynewsletter.co.kr/newsletter/kcplaa/202204-2/3.pdf
- https://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1069
- https://www.law.go.kr/LSW/precInfoP.do?evtNo=2015%EB%8F%8411812
- https://www.law.go.kr/LSW/lsRvsRsnListP.do;jsessionid=erojbXIM5CLBkowEOhICUgf0.LSW14?lsId=009349&lsRvsGubun=all&chrClsCd=010102
- https://www.law.go.kr/LSW/lbook/lbFileDownload.do?lbookSeq=62808&lbookConflSeq=57047&flExt=pdf
- https://www.law.go.kr/LSW/flDownload.do?gubun=ELIS&flSeq=154843471&flNm=%EC%97%98%EB%A6%AC%EC%8A%A4%EC%9E%90%EC%B9%98%EB%B2%95%EA%B7%9C
- http://www.law.go.kr/LSW/ordinInfoP.do?ordinSeq=1208909&chrClsCd=010202&gubun=ELIS
- https://www.law.go.kr/LSW/flDownload.do?gubun=ELIS&flSeq=139895949&flNm=%5B%EB%B3%84%ED%91%9C%5D+%EC%82%AC%EB%AC%B4%EC%A0%84%EA%B2%B0%EC%B2%98%EB%A6%AC%EC%82%AC%ED%95%AD%28%EC%B4%9D%EA%B4%84%29
- https://law.go.kr/LSW/lsInfoP.do?lsiSeq=130844
- https://www.law.go.kr/LSW/flDownload.do?gubun=ELIS&flSeq=153681417&flNm=%28%EB%B3%84%ED%91%9C%29+%EC%82%AC%EB%AC%B4+%EC%A0%84%EA%B2%B0+%EA%B8%B0%EC%A4%80%28%EC%A0%9C4%EC%A1%B0+%EA%B4%80%EB%A0%A8%29
-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96713
- https://seo.goover.ai/report/202504/go-public-report-ko-d4acf40b-9660-4504-b952-f0212b01e7bc-0-0.html
- https://www.nars.go.kr/report/view.do?cmsCode=CM0018&brdSeq=31556
- https://v.daum.net/v/20250810110055079
- https://www.kilf.re.kr/frt/biz/pblcte/selectPblcteView.do?ctgry=ISSUE&pblcteId=3529
- https://www.law.go.kr/LSW/flDownload.do?flSeq=9682536
- https://www.law.go.kr/lsInfoP.do?lsiSeq=247503&efYd=20240101&ancYnChk=0
- https://www.law.go.kr/LSW/detcInfoP.do?detcSeq=197519
-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268267&chrClsCd=010202&urlMode=lsInfoP&efYd=20250121&ancYnChk=0&mobile=&gubun=api
- http://www.law.go.kr/LSW/lsRvsRsnListP.do?lsId=001744&chrClsCd=010202&lsRvsGubun=all
- https://www.law.go.kr/LSW/lbook/lbFileDownload.do?lbookSeq=45423&lbookConflSeq=37541&flExt=pdf
-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216287&viewCls=lsRvsDocInfoR
- https://www.law.go.kr/LSW/flDownload.do?gubun=ELIS&flSeq=154841613&flNm=%EC%97%98%EB%A6%AC%EC%8A%A4%EC%9E%90%EC%B9%98%EB%B2%95%EA%B7%9C
-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252297
- http://kapf.or.kr/kapf/data/imgfile/3-2-4-%EC%9C%A4%EC%83%81%ED%98%B8.pdf
- https://www.kihasa.re.kr/api/kihasa/file/download?seq=6967
- http://www.shinkim.com/newsletter/2022/GA/2022_vol148/links/2022_vol148_402.pdf
-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DIKO0015654685
- http://repository.jthink.kr/bitstream/2016.oak/1124/1/2022-26_22SU23_%EC%A7%80%EC%97%AD%EC%82%AC%EB%9E%91%EC%83%81%ED%92%88%EA%B6%8C%20%EC%A0%95%EC%B1%85%ED%9A%A8%EA%B3%BC%20%EB%B6%84%EC%84%9D%20%EC%97%B0%EA%B5%AC%EC%9A%A9%EC%97%AD.pdf
- https://www.nongmin.com/article/20230113500497
- https://www.krihs.re.kr/board.es?mid=a10607000000&bid=0008&act=view&list_no=397400&tag=&nPage=1
- https://policy.nl.go.kr/search/searchEDSRetrieve.do?dbId=edskis&an=edskis.398983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91613
- http://repository.jthink.kr/bitstream/2016.oak/1134/2/2023-10_23SU05_%EC%A7%80%EB%B0%A9%EC%86%8C%EB%A9%B8%20%EB%8C%80%EC%9D%91%EC%9E%AC%EC%9B%90%EC%9D%98%20%EB%86%8D%EC%97%85%20%EB%86%8D%EC%B4%8C%20%ED%99%9C%EC%9A%A9%EB%B0%A9%EC%95%88%20%EC%97%B0%EA%B5%AC_%EC%9A%94%EC%95%BD%EB%B3%B4%EA%B3%A0%EC%84%9C.pdf
'Society사회,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심화분석] 검찰청 폐지와 대안 기관 설치 분석 및 결과 예측 다시 시작되는 수사 혼선 문제점 대응 방안 개선 과제 특검 도중 검찰청 폐지가 될까? (1) | 2025.08.22 |
---|---|
[AI분석] 검찰청 폐지 배경 목적 부작용 문제점 해결 방법 대안 방안 (0) | 2025.08.22 |
[AI심층분석]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내용 문제점 개선 방법 진짜 문제가 가득한 법안 (0) | 2025.08.20 |
[AI분석]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개정안 심층 분석 (0) | 2025.08.20 |
[AI분석] 양곡관리법 개정안 심층 분석 효과 문제점 개선안 (1) | 2025.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