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인설법(爲人設法)**은 '특정한 사람을 위해 법을 만든다'는 뜻으로, 원래 존재하지 않던 법이나 제도를 특정 인물의 이익이나 상황에 맞추어 새로 만들거나 고치는 것을 비판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이는 '위인설관(爲人設官, 특정인을 위해 자리를 만든다)'보다 더 한 단계 나아가 법 자체를 특정인을 위해 설계·개정한다는 의미입니다173.
이 용어는 주로 정치권에서 특정 정치인이나 집단의 이익을 위해 법률이 졸속으로 개정되거나, 원칙과 형평성을 무시하고 특정 사건이나 인물을 겨냥해 법이 바뀔 때 비판적으로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후보의 사법 리스크와 관련해 대통령 당선 시 형사재판을 중단시키는 형사소송법 개정안,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 삭제 또는 당선무효형 기준 상향 등 이재명 후보에게 유리한 법안들을 추진하자, 여당과 언론 등에서 이를 두고 '위인설법'이라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습니다10141517.
즉, 위인설법은 법치주의 원칙(모든 사람에게 공평하게 적용되는 법의 지배)과 충돌하는 행위로,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이익을 위해 법을 바꾸는 것을 경계하고 비판하는 표현입니다.
Citations:
- https://www.peoplepower21.org/magazine/721175
- https://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1700&key=20101207.22031205548
- https://munhwa.com/news/view.html?no=2011041201033037172002
- https://sldongbu.scourt.go.kr/word/new/WordList.work
- https://www.yna.co.kr/view/AKR20200716166600001
-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007168060Y
- http://www.kbsm.net/news/view.php?idx=371272
- https://v.daum.net/v/20250503001006012
- https://record.assembly.go.kr/assembly/viewer/minutes/xml.do?id=45613&type=view&item=item1
- https://www.youtube.com/watch?v=pZZxEfr2dLQ
- https://grd.deu.ac.kr/www/deu-rnd-humanities-thesis.do?mode=download&articleNo=59541&attachNo=88694
- https://www.mk.co.kr/news/economy/11307658
- https://www.mofa.go.kr/www/brd/m_4154/down.do?brd_id=258&seq=330910&data_tp=A&file_seq=1
- https://v.daum.net/v/20250502114751283
- https://news.nate.com/view/20250502n30492
- https://www.idaegu.com/news/articleView.html?idxno=617213
-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41121/130477542/1
- https://www.munhwa.com/article/11502997
Perplexity로부터의 답변: pplx.ai/share
Perplexity
Perplexity is a free AI-powered answer engine that provides accurate, trusted, and real-time answers to any question.
www.perplexity.ai
법치주의(法治主義)는 사람이나 특정 권력자의 자의적 지배가 아닌, 법에 의해 국가권력이 통제되고 지배되는 국가 원리이자 헌법의 기본 이념입니다. 즉, 모든 국가 권력-입법부, 행정부, 사법부-는 공포되고 명확하게 규정된 법에 따라 제한·통제되며, 법 앞에서 국민의 자유와 권리가 보장됩니다125.
법치주의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 법의 지배: 국가와 국민 모두 법에 복종하며, 법은 자의적인 권력 행사를 막는 기준이 됩니다.
- 자의적 통치 배격: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임의적 판단이나 폭력이 아닌, 합리적이고 공공적인 규칙에 따른 지배를 의미합니다13.
- 법률 우위와 법률 유보: 행정권 등 모든 국가작용은 법률에 근거해야 하며, 법률에 위반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1.
- 기본권 보장 및 적법절차: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며, 법 집행 시 명확성, 예측 가능성, 비례성, 적법절차 준수를 요구합니다15.
- 권력 분립과 견제: 입법·행정·사법 권력은 상호 견제와 균형을 이루어 권력 남용을 방지합니다5.
법치주의는 크게 형식적 법치주의와 실질적 법치주의로 나뉘는데, 형식적 법치주의는 법 제정 절차의 적법성에만 초점을 맞추는 반면, 실질적 법치주의는 법의 내용과 가치, 그리고 국민의 기본권 보장까지 포함하여 법치의 질적 측면을 강조합니다279.
대한민국 헌법과 판례에서도 법치주의는 국가권력 남용으로부터 국민 기본권을 보호하는 기본 이념으로 명시되어 있으며, 헌법과 법률에 근거한 행정과 재판을 요구합니다. 또한 명확성의 원칙, 소급효 금지, 적법절차 보장 등이 법치국가의 필수 요소로 인정받고 있습니다1.
요약하면, 법치주의란 국가 권력의 행사가 법률에 근거하고 법에 의해 제한·통제되어 국민의 권리와 자유가 보호되는 국가 운영 원리이며, 자의적이고 임의적인 통치를 배격하는 민주주의와 법치국가의 근간입니다.
Citations:
- https://ko.wikipedia.org/wiki/%EB%B2%95%EC%B9%98%EC%A3%BC%EC%9D%98
- https://blog.naver.com/law_zzang/221053907744
- https://www.lawtimes.co.kr/opinion/166563
- https://kdi.re.kr/seminar/file/download?atch_no=zh37aFvizFe9phZx4TTRgQ%3D%3D
- https://blog.naver.com/no415/221195523192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74718
- https://www.knou.ac.kr/bbs/lawgrad/2149/75006/download.do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67477
- https://www.lawtimes.co.kr/news/121915
- http://www.ccsimin.com/240786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80100
- https://www.scourt.go.kr/portal/gongbo/PeoplePopupView.work?gubun=13&seqNum=2937
- https://blog.naver.com/law_zzang/223562318912
- https://www.peoplepower21.org/Research/1752104
Perplexity로부터의 답변: pplx.ai/share
'Vocabulary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짜유기(方字鍮器, 방자유기)의 뜻 의미 역사 만드는 과정 [AI분석] (0) | 2025.05.26 |
---|---|
연년유여(蓮年有餘) 뜻 의미 [AI분석] (0) | 2025.05.26 |
[AI분석] 지엽적 뜻 의미 예시 유의어 어원 / 본질적이지 않고, 중요하지 않은 부차적·사소한 것 (2) | 2025.04.29 |
[AI분석] 형해화 뜻 의미 예시 맥락 어원 비슷한 말 (0) | 2025.04.29 |
천하삼분지계 天下三分之計 (6) | 2024.11.18 |